간선급행버스
BRT 시스템이란
- 버스타고 고양에서 서울까지 씽씽~
-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개편사업으로 경기도에서 추진 중인 "대중교통 기반시설 확충사업"으로 새롭고신속한 경기도 고양축 간선급행버스(BRT - Bus Rapid Transit)시스템을 개통하였습니다.
- 고양축 간선급행버스(BRT)시스템은 일산과 서울(대화역~수색)을 잇는 고양시 교통체증 해소의 방안이며, 국제도시로 발전하는 고양발전의 핵심 축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 동안 시민 여러분께서 많은 불편을 참고 기다려 주신데 대해 감사드리며,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대중교통체계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간선급행버스(BRT-Bus Rapid Transit) 시스템은
버스운행에 철도시스템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대중교통시스템으로서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에 버스 전용차로를 설치하고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시키는 교통시스템 입니다. 주요기반시설과 운영시스템으로 버스통행권, 교차로버스우선처리, 쾌적한 차량, 편리한 환승시설, 효율적 관리시스템 서비스 등을 갖추어 버스 운행에 자동요금징수, 적은 정류장수, 지하철 수준의 정류장 등 철도시스템을 도입한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으로, 대도시와 인근도시를 연결하는 주요도로에 설치된 버스전용차로로 주행함으로써 일반버스의 주행속도 보다 빠른 운행속도를 낼 수 있는 운행 시간이 정확하고 이용이 편리한 첨단 버스 운용체계입니다.
간선급행버스(BRT) 등장배경
- 도로/교통시설 증가 둔화
- 대중교통 분담율 하락
- 질 낮은 대중교통 서비스
- 교통체증의 지속
- 막대한 도로/교통시설 투자비, 오랜 공사 기간
- 선/후진국을 막론하여 새롭고, 신속한, 양질의, 대량수송에 적합한, 저렴한 비용의 대중교통 시스템 필요
간선급행버스(BRT) 정의
- 간선급행버스(BRT) 시스템은 버스운행에 철도시스템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대중교통시스템입니다.
- 주요기반시설과 운영시스템으로 버스통행권, 교차로버스우선처리, 쾌적한 차량, 편리한 환승시설, 효율적 관리시스템 서비스 등을 갖추어
- 그 목적으로 버스 운행속도, 정시성, 수송능력,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향상시킨 새로운 교통수단 입니다.
간선급행버스(BRT) 요소
- 소통행권 (버스전용차로/도로)
- 교차로시설 (버스우선신호/시설, 램프)
- 차량 (저공해 차량, 수평승하차, 대량수송)
- 환승시설 (쾌적,안전한 정류장, 환승센타, 환승주차장등)
- BRT 운행 및 관리시스템
- ITS를 통한 운행관리 (BIS AVL, 실시간 운행정보)
- 요금관리시스템 (사전지불, 거리기준 요금방식, 스마트카드)
- 서비스
친절한 직원, 신속성에 대한 강한 브랜드 효과
간선급행버스(BRT) 사업의 필요성
- 도시교통문제의 해결의 열쇠
BRT는 종래의 버스중심의 대중교통을 격상시켜 고급교통수단으로 발전시키는 것으로 기존 대중교통 이 용자의 감소를 방지하고 아울러 승용차 이용객을 흡수하는 효과가 도시철도와 유사함
- 타 신교통수단에 비해 효과/비용 면에서 유리함
- 국고지원과 민간자본의 유입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추진에 어려움을 격고있는 경전철 사업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
- 노면으로 설계할 경우 LRT(Light Rail Transit-노면전철)의 25% 가격으로 BRT 실시가 가능함. 즉 동일한 비용으로 LRT의 4배의 연장에 설치가 가능함
- 환경 및 CO2 규제
- 교토 의정서가 발효될 경우 CO2 유발량이 많은 우리나라는 교통부문의 CO2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며,
- BRT는 차량이 CNG버스로 기존의 버스와 승용차에서 배출되는 CO2량을 단기간에 감소시킬 수 있는 유일한 교통부문의 대책임
- 기존 버스산업과의 연계성 및 사업 모형 개발 가능성
- BRT는 대중교통의 중심인 기존 버스산업과의 연계가 가능
- 승용차의존도가 높은 도시에서 승용차이용자를 대중교통으로 유도하면서도 기존의 버스산업을 잠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LRT 사업에 비해 유리
- 기본적인 대중교통수요가 존재하는 국내여건에서 기반시설을 국가와 지자체에서 지원하고 기존 버스업체에서 일부 차량비용을 분담토록하여 수익사업모형의 창출이 가능함
- 국내 여건에 적합한 대책
- 철도를 중심으로 대중교통이 발전된 유럽이나 도로확충에 막대한 투자가 가능한 미국과 달리 재정이 열악한 우리나라의 여건에서 투자대비 수송효율성이 높은 BRT를 외면하고 LRT에만 국고지원이 국한되는 것은 불합리
- LRT와 BRT를 동등한 신교통수단으로 간주하고 객관적인 평가하에 지자체 여건에 맞는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BRT 국고지원을 실시해야 함
- BRT 차량 산업의 육성
- BRT는 국내 자동차기술로 국산화가 가능하여 국고지원사업으로 육성할 경우 전국적인 실시가 가능하고 향후 BRT 차량 수출국으로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음
- 특히 아시아에 많은 BRT 차량 수요가 있음
간선급행버스(BRT) 사업의 필요성
평균운행속도 증가
- BRT : 51.5km/h
- 경전철 : 26.9km/h
통행시간 감소와 탑승객 증가 (해외사례)
시행이 용이성
- 짧은 건설기간(BRT: 18개월 이하 경전철: 3년 내외)
- 단계별시행가능 : 1개 노선 단계별 시행사례 (해외사례 : LA)
구분 | 다빈도 차량 |
버스 우선신호 |
정류소 수제한 |
지선,급행 구분 |
수평 승하차 |
차량 색깔구분 |
고용량 버스 |
전용 차로 |
승차전 사전요금 |
---|---|---|---|---|---|---|---|---|---|
1단계 (2000) |
○ | ○ | ○ | ○ | ○ | ○ | X | X | X |
2단계 (2005) |
○ | ○ | ○ | ○ | ○ | ○ | ○ | ○ | ○ |
Institute for Transportation & Development Policy 자료, 2003
대중교통수단간 수송능력 및 건설비 비교
교수송능력 범위

GAO, Institute for Transportation & Development Policy 자료, 2003
대중교통시설별 수송능력 해외사례
사례도시 | 교통수단 | 시간당 수송능력(명) |
---|---|---|
Sao Paulo East Line | 지하철 | 60,000 |
Santiago La Moneda | 지하철 | 36,000 |
London Victoria Line | 지하철 | 25,000 |
Sao Paulo 9 de julho | BRT | 35,000 |
Bogota transMilenio | BRT | 33,000 |
Porto Alegre Assis Brasil | BRT | 28,000 |
Curitiba Eixo Sul | BRT | 15,000 |
Dallas, Texas | 경전철 | 38,000 |
Strasbourg | 경전철 | 18,000 |
Institute for Transportation & Development Policy 자료, 2003
대중교통시설별 건설비용 범위

GAO, Institute for Transportation & Development Policy 자료, 2003
BRT 해외사례
- BRT 운영 중 도시 현황 (해외 45개도시)
- 남미 : Belo Horizonte, Bogota, Campinas, Curitiba, Goiania, Porto Alegre, Quito, Recife, Sao Paulo
- 아시아 : Ankara, Istanbul, Kunming, Nagoya, Taipei
- 유럽 : Bescaon, Bradford, Claremont, Ferrand, Dijon, Eindhoven, Essen, Grenoble, Ipswich, Leeds, Limoges, Lyon, Montpellier, Nancy, Rennes, Rouen, Strasbourg
- 북미 : Chicago, Honolulu, Los Angeles, Miami, Ottawa, Orlando, Philadelphia, Pittsburgh, Seattle, Vancouver
- 오세아니아 : Adelaide, Brisbane
- 해외사례
- 브라질 빠라나주의 주도
- Ottawa busway
- Charlotte(USA) busway (1998)
- Florida(USA) busway (1997)
최종수정일 : 2021-06-11 1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