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테크노밸리프로젝트
핵심사업
고양 일산테크노밸리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년 ~ 2023년
- 위치 :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 면적 : 80만㎡
- 사업비 : 약 6,946억원
- 사업주관 :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공, 고양도공
- 개발컨셉 : IT 기반 실감형 가상현실(VR) 콘텐츠산업, 자율주행, IT 융합의료시술, AI 등 미래수요 창출 신산업, 플랫폼 조성
기대효과
- 약 1조 6천억원 신규투자, 1,900여개 첨단 신산업 기업 입주, 18천명 직접고용 효과
-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수요 창출형 모델 제시
도입기능
업무시설 |
|
---|---|
지원시설 |
|
상업시설 |
|
지원개요 |
|
비전과 전략
1) 비전 : 경기북부의 첨단지식산업 메카조성을 통한 고양테크노밸리 목표달성
2) 전략
- 창업 생태계 조성 : 구성원 혁신역량 강화 및 적재적소 인력공급, 청년창업도시 및 loT실증도시 브랜드 구축
- 산업입지 기반 마련 : 산업생태계의 허리가 되는 중견기업 전략적 유치, 기업유치 및 지원제도 개발, 첨단산업 고양시 브랜딩 개발 및 홍보 활용
- 실리콘밸리내 협력클러스터 구성 : 융복합을 통한 시너지 창출, 기술이전·중개 및 기술 사업화 지원
- 전략적 타겟산업 설정 : 4차 산업, 창업생태계 조성으로 판교TV와 차별화, 상암DMC 등 경쟁단지에 없는 특화분야 육성
타 지역 테크노밸리 사업과 차별화 및 상호 연계체계 구축

- 서울·경기 남동부와 차별화된 방송·영상, CT(문화) 콘텐츠 산업 집중.
- 상암DMC, 한강시네폴리스 등과 연계한 특화산업 Belt의 중심기능 수행
고양 청년 스마트타운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년 ~ 2022년
- 위치 :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일원
- 면적 : 144만9천㎡
- 사업비 : 약 1조 2,681억원
- 사업주관 : - 국토부, LH공사
- 개발컨셉 : 청년타운, IoT를 접목한 스마트시티 조성
기대효과
- 대한민국 최고 청년 주거와 일자리가 균형 잡힌 자족도시 조성
- 문화와 산업, 삶이 어우러지는 젊음의 활력타운 조성
- 청년벤처타운 조성, 청년창업지원센터 조성
- 스마트시티 기술 기반 최고의 주거공간 조성
☞ 일자리 → 일자리 진입지원 및 안전망 구축 |
☞ 설자리 → 청년의 사회참여 확대 및 역량강화 |
---|---|
|
|
☞ 놀자리 → 청년 활력공간 구축 및 커뮤니티 활성화 |
☞ 살자리 → 청년 주거질 향상 및 생활안전 지원 |
|
|
청년스마트타운 내 스마트시티 기능 적용
스마트시티 구현, 청년주거 및 청년 벤처타운 조성, 예술대학 및 국제도시 추진, 도시인프라 확충, Io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홈, 지능형 교통시스템으로 교통혼잡을 조정하는 스마트교통, 공공지역 안전을 책임지는 스마트 안전 등 스마트 시티의 기술을 도입해 최고의 주거공간으로 조성
고양 방송영상밸리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년 ~ 2023년
- 면적 : 70만㎡
- 사업비 : 약 5,860억원
- 사업주관 : 경기도, 경기도공
- 도입기능 : 방송시설, 문화시설, 상업복합시설
- 개발컨셉 : 신한류문화, MICE 산업과 연계한 방송영상산업 직접단지 조성
기대효과
- 한류월드와 연계한 방송영상문화를 선도하는 특화단지 조성으로 한강을 축으로 하는 방송영상미디어 벨트 구축
- 신한류, 마이스, 방송, 영상, 문화산업 중심, 디지털 방송문화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 디지털 방송문화 클러스터 거점 조성 및 경기 서북부권 미디어 산업 특화
도입기능
선도시설 |
|
---|---|
핵심시설 |
송영상 관련 기업 : 제작사, 매니지먼트, 음반사, 방송장비, 투자회사, 관련교육, 협회 등 |
일반시설 |
|
방송산업 입지현황
- 2000년 이전
여의도
아날로그 콘텐츠 - 2000년 이후 (기술발전)
상암DMC
디지털미디어 콘텐츠 - 2020년 이후 (기술발전+문화교류)
고양 방송영상문화 콘텐츠밸리
한류+ICT 기반의 사물인터넷, VR 및 문화와 결합된 4세대
추진방안 → 방송영상문화 선도 특화단지 조성
- 글로벌 : 한류월드와 방송문화 콘텐츠 기능이 융합된 세계적 문화공간 창출
- 확장성 : 방송영상산업 환경 개선을 통한 업계 시장 규모 확대에 기여
- 신성장 동력 : 방송영상산업 유치로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
- 연계성 : 한류월드 개발과 연계한 방송-영상-문화-출판 광역 클러스터 조성
한류월드(테마파크)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5년 ~ 2020년
- 면적 : 33만5천㎡
- 사업비 : 1조 4천억원
- 사업주관 : - 경기도, 경기도공 (CJ E&M)
- 도입기능 : 방송시설, 문화시설, 상업복합시설
- 개발컨셉
- 테마파크 : 1코아 6테마존(한류체험 이벤트 공간)
- 호텔 : 도시와 연결하는 Multiple Link Stay Street
- 융복합공연장 : 한류콘텐츠 실내·외 공연
기대효과
- 고부가가치 한류문화 콘텐츠산업 생태계 및 MICE, K-스트리트 등 문화관광벨트구축
- 글로벌 한류소비 플랫폼 구축을 통한 한류관광의 질적 향상 및 폭넓고 다양한 한류문화 융합을 통한 신한류문화 선도
- 방송·영상, 숙박·상업시설과 연계한 한류 관광 육성
킨텍스 제3전시장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7년 ~ 2023년
- 면적 : 47만㎡
- 사업비 : 약 4,931억원
- 사업주관 : 경기도, ㈜킨텍스
- 추진전략
- 글로벌 전시회·인적자원 육성 등 Global Venue 위상 확립
- 해외유명 전시장 공동투자사업 발굴 등 사업구조 고도화
- 국제수준의 대규모 주관전시회 개발로 운영전략 전환
기대효과
국내 최대·최고의 전시장, MICE 최고의 장, 세계적인 MICE산업의 메카로 도약
킨텍스 지원 활성화 시설 개발사업
사업개요

추진목적 : KINTEX 경쟁력 강화
- 1단계
국내 전시·컨벤션 공급 부족 해소
전시·컨벤션 산업의 국제화 - 2단계
세계적 수준의 전시장 확보
전시·문화·관광의 자족도시 건설
매각 대상 부지 : 1단계 복합시설(C4)
- 위치 :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2605 외 2필지
- 부지면적 : 55,303.1㎡(16,729.2평)
- 공급방식 : 미정
- 예정가 : 약 2,595억원(15,516천원/3.3㎡, 2017. 6.)
- 지구단위계획 : 건폐율(60%↓), 용적률(700%↓), 높이(450m↓)
구분 | 계획내용 |
---|---|
지정용도 |
판매시설 중 소매시장 또는 상점, 업무시설,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단, 관광호텔 60% 이상) |
허용용도 |
|
최종수정일 : 2019-06-21 13:26:23
콘텐츠 관리부서 : 도시균형개발과 균형정책팀 031-8075-3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