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고양향토문화유산

71

1/6 페이지

이동
검색하기

보기드문 돌로 만든 사자상, 고양 노적사 사자상

보기드문 돌로 만든 사자상, 고양 노적사 사자상

 불교에서 사자는 불법을 지키는 상징적인 동물로 인식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조각, 회화, 공예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습니다. 고양 노적사 석사자상은 주지스님 전언에 따르면 1970년대 노적사 입구에서 주둔하던 군부대에서 막사를 건축하면서 출토되었다고 합니다. 사자상은 북한산성을 축조한 화강암 계열의 돌을 이용해 만든 작품으로 방형에 가까운 몸통과 좌대, 신체에 비해 간략해진 다리 등의 표현에서 조선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불교미술
30년 동안 불교예불회를 가진 귀한 비석, 한미산흥국사만일회비

30년 동안 불교예불회를 가진 귀한 비석, 한미산흥국사만일회비

<한미산 흥국사 만일회비>1929년 흥국사 주지 해송스님이 재원을 마련하고 당시 개운사에 머물던 정호스님(속명 박한영, 1872~1948)에게 만일염불회에 대한 내용을 부탁하여 기록한 것입니다. 주요 내용은 흥국사의 최초 창건 연혁 및 조선후기 절 명칭에 대한 유래와 그 외에도 19세기 후반 약사전, 칠성전, 나한전, 산신각 등에 대한 다양한 불사활동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미산 흥국사 만일회비>19세기부터 전국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불교 신앙인 만일염불회에 대한 고양시의 유일한 기록으로 ,비문을 통해 당시 만일염불회 후원이 왕실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한미산 흥국사 만일회비>는 근대기에 제작된 비이기는 하나, 사찰의 연혁 및 유래와 조선말~근대에 만일염불회와 관련된 다양한 기록을 남기고 있어 20세기 초 불교사 및 불교신앙, 사회경제사, 후원체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로 역사적, 사료적 가치고 높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제강점기 우리민족의 독립운동에 대한 의지도 포함되어 있어 고양향토사 연구에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흥국사 만일회 기비>는 흥국사의 정문인 일주문 (一株門) 안쪽에 있는 비석으로 고양시 향토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 비석은 1천년이 넘은 흥국사의 역사를 정리하고 특히 1904년부터 1928년까지 이어진 흥국사 만일회 염불 법회를 후대에 길이 전하기 위해 남긴 비문입니다. 이 비석은 좌대. 옥개, 비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후좌우 4면에 모두 비문이 기록되어 있으며 비신은 오석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전면 윗부분에 두전 (전서)도 눈에 띄게 잘 쓰여져 있습니다.
금석문
부모를 위해 손가락을 자른 효자, 장의중 효자정려각

부모를 위해 손가락을 자른 효자, 장의중 효자정려각

장의중의 묘와 정려, 효자문은 덕양구 원당동 왕릉골 입구 식당가의 뒤편 구릉에 위치해 있으며, 장의중 효자정려각은 고양시에서 유일하게 정려각과 효자정려문이 남아 있는 유교 유적입니다. 정려는 한옥 형태의 맞배지붕 기와집으로 일부가 훼손되어 콘크리트로 일부 개축하였으며 규모는 정면 2칸으로 안에는 위패, 제기 등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정려에는 효자학생 장의문지려(孝子學生 長宜中之閭)’란 글자가 흰색으로 쓰여 있고 정려문의 판은 붉은색으로 홍살은 모두 8개이며 효자문은 정려로부터 연결된 쇠줄로 지탱되고 있습니다. 장의중은 조선시대 말의 효자로 어머니의 질병을 고치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헌혈하려고 하였다는 소식이 조정에 전해져 1905년 고종으로부터 정려와 효자문을 사사 받았습니다. 정려문 뒷면 30m 뒤편에 장의중의 무덤이 자리해 있습니다.  
정려각
고양시에도 고인돌이? 국사봉지석묘군

고양시에도 고인돌이? 국사봉지석묘군

지정번호 :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56호 소 재 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화정동 국사봉의 정상부에는 장사바위라고 불리는 큰 바위가 있고 아래로 20~30m 정도 능선까지 많은 바위들이 산재하고 있습니다. 정상부를 기준으로 남쪽 사면은 국사봉에서 굴러 떨어진 것으로 보이는 것이 많고 북쪽 사면에는 수적으로는 많지 않은 것 같으나 잘 다듬어진 돌이 20여개 분포하고 있습니다. 정상부에 있는 장사바위는 직격 10m도 넘는 큰 바위였다고 하나 군부대가 들어서면서 일부가 파괴되었다고 합니다. 이 정도로 엄청나게 큰 바위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이 일대의 바위들은 다른데서 옮겨온 것이 아니라 지상에 노출된 노반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 대부분이며 지석묘를 썼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노반을 이용해서 축조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석묘는 국사봉을 오르내리는 길 주변에 있어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받침석이 지표면 위로 올라와 있고 덮개돌도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고인돌의 모습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선사유적
임진왜란의 발발을 예상한 충신, 황윤길 묘

임진왜란의 발발을 예상한 충신, 황윤길 묘

지정번호 : 향토문화재 제55호 소 재 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 72-15  황윤길 묘는 덕양구 지축동 옥녀봉 아래 북한산 부대 안에 자리해 있습니다.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길재(吉哉), 호는 우송당(友松堂)으로 1561(명종 1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63년 정언, 1567년 지평이 되었습니다. 1585(선조 18) 황주(黃州)목사를 지내고 병조참판에 이르렀습니다. 1590년 통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어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접견하고 이듬해 귀국하여 장차 일본이 반드시 내침할 것이므로 대비하여야 할 것이라고 복명하였습니다. 이때 부사 김성일의 보고와 서로 상반되었으나, 조정은 동인(東人) 세력이 강성하였으므로 서인인 그의 의견을 묵살하였습니다. 1592년 봄 그의 예견대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그의 말을 따르지 않았음을 후회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황윤길의 묘는 임진왜란이 발발된 1592년에 우송당이 세상을 떠났으므로 이때 조성이 되었을 것이라 하나, 전란 중에 석물을 설치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추정할 때 약 400여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석물의 재질은 화강석이며 상석 앞의 향로석은 제례를 위해 1982년 설치한 것입니다. 비석 및 비문은 전하는 것이 없어 왕조실록과 징비록 등 고문서를 참고하여 1982년 후손들이 행적위주로 작성하여 건립하였습니다. 황윤길의 묘는 군부대에서 관리해 주고 있는 충신의 묘소입니다.    
묘소
한산 이씨 묘

한산 이씨 묘

한산 이씨 묘                  
묘소
이두문, 이두로 기록된 신원동 덕명교비

이두문, 이두로 기록된 신원동 덕명교비

지정번호 : 향토문화재 제52 소재지 : 덕양구 신원동 1685 이 교량비는 신원동 해방촌 마을의 중소기업은행 축구연습장 안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현재 비는 대좌의 거의 전부가 땅에 묻혀 있는데 비 전체의 재질은 화강석이며 옥개석의 일부는 마모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비의 앞면에는 전자(篆字)경기도 고양군 덕명교라 기록되어 있습니다. 앞면에는 전자 이외에도 가는 글씨로 된 비문이 전면(全面)에 새겨져 있습니다. 비의 뒷면에도 비의 중간 부분부터 비문이 기록되어 있는데 고양시원 덕명교량명이라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로는 수십 명의 이름이 이두문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비의 내용은 한양과 북부 지방을 연결하는 관서로 구간 중 신원동 공릉천 위에 다리를 놓으면서 그 자세한 사항을 기록으로 표기해 둔 것입니다. 비문에 의하면 이비의 건립자는 이한과 당시 고양군수인 통정 대부 윤후성, 그리고 정헌대부 윤면지, 이상식, 홍시우를 대표로 한 760여 명의 주민으로 되어 있습니다. 즉 앞면은 비의 서문으로 주민 760여 명의 힘을 합쳐 공릉천 위에 돌다리를 건립했고 그 명단을 자세하게 표기해 둔 것입니다. 이 교량비의 건립연대는 효정 9(1658)입니다. 고양시 공릉천 일대의 역사가 기록된 비석으로서 문화재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하겠습니다.  
비갈
백두산 정계비를 세운 주역, 김지남 묘

백두산 정계비를 세운 주역, 김지남 묘

지정번호 : 향토문화재 제51호 소 재 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 산195-5 삼송신도시로 개발 중 인 오금동 하촌 마을에는 우봉 김씨 묘역 수 십 기가 자리해 있으며 이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인 조선조 숙종대의 역관인 김지남의 묘역입니다. 김지남의 본관은 우봉(牛蜂), 자는 계명(季明)이며 호는 광천(廣川)입니다. 1671년(현종 12) 역과에 급제하여 역관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자초법(화약을 만드는 흙을 달이는 법)을 중국으로부터 들여와 '신전좌초방'을 저술하였는데, 이책은 정조로부터 금석(金石)과 같은 성헌이라고 높이 평가받았다고 합니다. 1712년 청나라와 국경선을 확정짓기 위해 양국대표가 회동하였는데, 아들 경문과 함께 수행하여 청나라 대표 목극 등을 상대로 백두산정계비를 세우는데 참여했다고 합니다. 현재 김지남의 묘역에는 비갈이 1기가 세워져 있으며 비갈의 내용 중 김지남이 숙종 대에 백두산에 올라 중국 청나라 사신들과 담판을 져서 그 영토를 명확히 한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왕조실록과 같은 문헌기록에는 백두산정계비와 관련한 기록을 다수 볼 수 있으나 무덤의 비석 중 정계비를 세웠다는 내용은 매우 드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묘소
조선전기의 사각형 봉분, 희옹공 이숙균 묘

조선전기의 사각형 봉분, 희옹공 이숙균 묘

지정번호 : 향토문화재 제50호 소 재 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산158-1   희옹공 이숙균의 묘는 일산동구 식사동 저현고등학교 부근 공원 내에 자리해 있습니다. 조선 초의 문신으로 태조 6(1397)에 출생하여 세종 30(1448)에 사망하였고, 시호는 희옹공이며, 자는 균평, 본관은 단양으로 익평공 우의정 단산부원군 이무의 손자입니다. 세종 5(1423)에 외직을 맡아 많은 공을 세웠는데 특히 서방을 지키는 방책을 자주 올렸으며, 세종 8(1426)에 광주 목사로 부임하였고 후에 강릉부사로 임명되었으나 임지에 나가기 전에 세상을 떴습니다. 세종은 그의 공을 높이 여겨 가선대부한성판윤에 증직하고 예장하였습니다. 비석에는 증가선대부한성판윤행정통대부삭방절도사 광주목사 단양이공휘숙균지묘라 새겨져 있으며 가로 약4m, 세로 약5m의 사각의 봉분으로 좌우의 문인석은 조선 전기의 모습을 본모습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무덤은 가로 약4m, 세로 약5의 규모이며, 조선 전기에 많이 보이는 사각형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이전의 연구에 의하면 사각묘는 매우 특이한 형태로 분류되었지만, 고양시에는 사각묘가 매우 많습니다. 고양시의 문화재 중에서 1,500년 이전에 조성된 무덤은 대부분 사각의 봉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점이 매우 재미있는 연구자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묘소
성령대군의 장인, 성억선생 묘

성령대군의 장인, 성억선생 묘

지정번호 : 향토문화재 제49호 소 재 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산27 성억선생의 묘는 덕양구 대자동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희정공 성억은 고려 우왕 12(1386)에 태어나서 조선 세종 30(1448)에 돌아가셨으며 시호는 희정입니다.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창녕이며, 예조판서 석인의 아들입니다. 음보로 관직에 나아가 공조정랑 등을 역임하였으며, 1414년에 공조판서, 전라도관찰사, 중추원판사 겸병조 판서를 겸하고 좌찬성을 역임하였으며 공의 딸이 태종의 4자인 성녕대군에 출가하였습니다. 묘는 유좌 방향으로 사각정방형의 둘레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경부인 죽산안씨와 정경부인 남양홍씨를 합장하였습니다. 규모는 가로 394cm, 세로 530cm, 높이 202cm이며 고려말 조선 초기에 보이는 사각묘로 2단의 기단석이 봉분 전체를 둘러치고 있으며 기단석은 서로의 끝부분이 엇갈리게 쌓아져 봉분의 흘러내림을 막아주고 있습니다. 사단기단석에 다시 사각으로 작은 수로를 만든 것이 특이하며, 봉분의 앞으로는 혼유석, 상석, 고석이 배치되어 있으며 원비는 없어졌으며 2기의 문인석 등 조선조 전기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묘소
마을의 안녕을 위해.. 백석동흰돌제

마을의 안녕을 위해.. 백석동흰돌제

 수 백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백석동 흰돌제는 백석동의 지명유래로서 옛날부터 마을의 안녕을 지켜주며, 주민의 단결과 화합을 통해 마을이 발전 할 수 있도록 정신적 지주역할을 해왔습니다. “흰돌에 대해 향토문화를 계승하고 마을의 항구적인 발전을 기원하기 위하여 흰돌보존위원회(백석동단체협의회)에서 매년 음력 3월 초 길일에 맞추어 백석동민들과 함께 지내는 마을 제례입니다. 백석동의 유래로 전해 내려오는 흰돌을 보존하고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주민화합을 위해 매년 흰돌제행사를 유지하여 왔으나 작년부터는 백석동 단체협의회에서 계승하고 있으며 백석동 분동과 관련하여 점차 계승의식이 희박해지고 있어 고양시 향토문화재로 지정하여 전통을 확립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무형(전통제례)
동산동 비석군

동산동 비석군

지정번호 : 향토문화재 제47 소재지 : 고양시 덕양구 동산동 10-2 고양 동산동 비석군은 고양 밥 할머니 석상과 함께 통일로변 창릉 모퉁이 공원 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비석군은 오른쪽으로부터 차례로 오정일 선정비, 덕수 자씨 교비명, 엄찬 선정비 순으로 세워져있습니다. 이 비석들은 350년 전 고양지역의 인물과 역사적 상황, 주요 유적, 도로의 현황 등을 알 수 있고 특히 이두 표기의 기록이 많아 고양지역의 향토사 연구 및 국문학적으로도 그 가치가 인정되어 보호하고 있습니다. 1. 방백 오후정일 청덕 휼민 선정비 총 높이가 3m에 이르는 큰 비석으로 아랫부분의 귀부와 중간의 비신, 윗부분의 이수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 비석은 서기 1660년 고양군 덕수천(현재의 창릉천)에 새롭게 돌다리를 만들면서 당시 경기도 관찰사인 오정일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입니다. 앞면과 뒷면에 비문이 잘 남아 있어 건립 연도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오정일(1610-1670)은 조선조의 문신으로 본관은 동복이며 호는 귀사입니다. 1639년 문과에 급제한 뒤 황해도 및 경기도 관찰사를 비롯하여 도승지를 거쳐 호조판서 등을 역임한 인물입니다. 2. 고양 덕수 자씨 교비명 총 높이 3.4m의 비석으로 직사각형의 비좌에 비신과 옥개가 있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비문은 앞쪽 윗부분에 제목 글씨인 두전이 있고 그 아래로 비문이 세로로 새겨져 있습니다. 비석은 조선 현종1(1660)에 조선남과 고양지역의 주민들이 서로 힘들 모아 덕수천(현 창릉천)에 돌다리를 만들고 그 내력을 상세히 적은 것입니다. 비문에 의하면 석교를 만들어 홍수에 대비하고 임금과 백성들을 편안히 다닐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 있어 축조 목적을 알 수 있습니다. 비의 앞·뒷면에는 약800명의 사람 이름이 이두문자로 적혀 있어 학술적·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3. 고양군수 엄찬 선정비 좌측 끝에 있는 작은 비석입니다. 엄찬은 조선 숙종 16(1690) 1222일 숙종 17112일까지 고양군수를 지낸 인물입니다. 이 비석은 당시 군수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화강석 비문이며 엄찬 군수는 충주목사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비갈
처음 페이지 이전페이지 1 2 3 4 5 6 다음페이지 마지막 페이지